Page 22 - :: MyProperty 875 ::
P. 22
MY Economy / 경제
IMF 때 폭락한
신용등급, 회복엔
13~18년 걸렸다
한번 떨어지면 올리기 쉽지 않아
미국, 14년째 원래 수준 못 돌아가
국가신용등급은 한 번 떨어지면 회복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특징이 있다.
이는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경우, 지난 1997년 외환 위기
전까지 A1(무디스 기준)과 AA-(S&P와 피치 기준)로 비교적 높은 신용등급을 유지했다. 그러나
외환 위기로 인해 기업들이 줄도산하고 원화 가치가 폭락하면서, 무디스는 한국의 신용등급을
한꺼번에 6단계 낮춘 Ba1로 하향 조정했다. S&P와 피치 역시 각각 10단계(B+)와 12단계
(B-)로 신용등급을 대폭 강등시켰다. 이는 국가 경제의 심각한 신뢰 저하를 의미하며, 이들
신용평가사들이 BBB- 등급까지를 '투자 적격'으로 보고 그 이하를 '투기 등급'으로 분류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당시 한국은 국제 투자자들에게 '위험한 국가'로 인식된 것이다.
신용등급이 낮아지면 국가가 외국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설령 조달이
가능하더라도 훨씬 높은 금리를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한국은 IMF로부터 긴급
구제금융을 받으며 경제를 안정화하려 노력했지만, 신용등급은 쉽게 회복되지 않았다. 무디스가
외환 위기 이전 수준(A1)을 회복한 시점은 2010년으로, 등급 강등 후 13년이 걸렸다. S&P와
피치의 경우에는 각각 18년과 15년이 걸려서야 외환 위기 이전의 신용등급을 회복할 수 있었다.
현재 한국의 신용등급과 주변 국가 비교
현재 한국의 신용등급은 무디스와 S&P 기준 AA, 피치 기준 AA-로 외환 위기 이전보다 더
높아진 상태다. 이는 한국 경제가 외환 위기를 극복하고 안정적인 경제 성장을 이루었음을 영국의 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세 단계 강등했고, 현재도 같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보여준다. 반면 일본과 중국의 신용등급은 S&P 기준으로 A+로, 한국보다 두 단계 낮다. 이는 신용등급 하락의 부작용
한국이 아시아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신뢰를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국가신용등급 하락이 가져올 부정적 영향을 경고했다.
그는 “신용등급이 하락하면 외국 자본 유입이 줄어들고, 기존 국내에 머무르던 자금이 해외로
글로벌 주요국 사례 빠져나가면서 경제 불안정성이 심화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한국처럼 기축통화국이 아닌
국가신용등급 하락과 회복의 어려움은 다른 주요 국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미국은 2011년 국가의 경우, 신용등급 하락의 여파가 더 크다. 이는 환율 급등과 외화 자금 조달 비용 증가로
정부 부채 급증으로 인해 S&P가 국가 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한 단계 강등했다. 이후 이어져 경제 전반에 걸쳐 추가적인 위기를 초래할 가능성을 높인다. 따라서 국가 신용등급을
14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최고 등급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피치마저 미국의 방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신용등급을 한 단계 내렸다.
결론적으로, 신용등급은 단순한 경제 지표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국가의 신뢰와 안정성을
영국은 2016년 브렉시트 국민투표로 인해 S&P 기준 신용등급이 AAA에서 AA로 두 단계 나타내는 중요한 척도다. 이를 유지하거나 회복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철저한 관리와 국제
하락했고, 이후 10년 가까이 등급을 회복하지 못했다. 무디스 또한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신뢰 회복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