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 - :: Mylife Weekly 901 ::
P. 26
MY Education / 교육
러시아 전통에서 세계적 실험정신으로…
시대를 관통한 작곡가의 여정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마이라이프
(Igor Stravinsky) QR코드 스캔하고
명곡 듣기 ▲
20세기 클래식 음악은 이전과는 전혀 다른 미학과 언어를 디아길레프와의 만남, 그리고 세계적인 발레음악의 탄생 미국 정착과 제2의 작곡 인생
통해 발전해왔다. 그 중심에는 언제나 이고르 표도로비치 1908년 스트라빈스키는 관현악곡 《불꽃》을 통해 러시아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스트라빈스키는 미국으로 이주했고,
스트라빈스키의 이름이 있다. 러시아 제국에서 태어난 그는 발레단의 창립자 세르게이 디아길레프에게 발탁된다. 1945년 정식으로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그는 캘리포니아
시대를 초월하는 작곡 기법과 실험정신으로 현대 음악의 디아길레프는 당시 파리에서 러시아 예술을 소개하고 할리우드에 정착하며 새로운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이 시기의
흐름을 바꾼 인물이다. 있었으며, 스트라빈스키에게 신작 발레음악 작곡을 의뢰한다. 주요 작품으로는 《3악장의 교향곡》, 《에디푸스 렉스》, 《미사》
이렇게 탄생한 작품이 《불새》(1910)로, 파리 오페라 극장에서 등이 있다. 《미사》는 무조성과 복잡한 대위법을 특징으로
러시아에서 출발한 한 젊은이의 각성 초연되어 찬사를 받으며 작곡가로서의 명성을 확보하게 된다. 하며, 그의 종교적 관심이 반영된 대표적 성악 작품이다.
1882년 6월 17일, 스트라빈스키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인근의 핀란드만 남부 오라니엔바움에서 태어났다. 이후 《페트루시카》(1911), 《봄의 제전》(1913)까지 잇달아 종교음악과 케네디를 위한 애가
성공을 거두면서 스트라빈스키는 유럽 음악계의 중심 1950년대 이후 스트라빈스키는 12음기법에 관심을 가지며
그의 아버지 표도르 스트라빈스키는 키예프 오페라와 인물로 떠올랐다. 특히 이 세 작품은 ‘스트라빈스키 3대 새로운 음악 어법을 탐구했다. 말년에는 종교와 사회적
상트페테르부르크 마린스키 극장에서 활동하던 베이스 발레곡’으로 불리며, 그의 초기 대표작으로 자리 잡았다. 주제를 다룬 작품에 집중했는데, 《설교, 설화 및 기도》(1961),
오페라 가수였고, 어머니 안나 스트라빈스카야는 키예프 《아브라함과 이삭》(1963)은 그 대표작이다. 또한 1963년
고위 관료 집안 출신이었다. 《봄의 제전》과 음악사의 전환점 미국 대통령 존 F. 케네디가 암살되자, 그는 단 이틀 만에 2분
1913년 발표된 《봄의 제전》은 발레 역사뿐만 아니라 음악사 분량의 추모곡 《케네디의 추억을 위하여》를 작곡해 헌정했다.
예술과 교양이 풍부한 가정 분위기 속에서 성장한 전반에 걸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교도적 제사와 봄의
스트라빈스키는 자연스레 음악에 노출되었지만, 부모는 도래를 주제로 한 이 작품은 불협화음, 변박자, 강한 리듬의 마지막 여정과 영원한 안식
그가 안정적인 삶을 살기를 바라며 법학을 공부하게 했다. 반복을 통해 기존의 음악 문법을 철저히 뒤흔들었다. 파리 1962년 스트라빈스키는 백악관 공식 만찬에 초청되어
샹젤리제 극장에서 열린 초연은 격렬한 찬반 반응 속에 케네디 대통령으로부터 특별 공로 메달을 수여받았다.
1901년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에 입학한 그는 법학을 소동으로 이어졌고, 이 사건은 ‘스캔들’로 기록되면서도 같은 해, 소련으로부터 공식 초청을 받아 1914년
전공했으나, 강의에는 거의 출석하지 않았고 음악에 대한 스트라빈스키를 전위 음악의 대표 인물로 떠오르게 했다. 이후 처음으로 고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모스크바와
열정이 커져갔다. 레닌그라드에서의 연주회는 역사적인 순간으로 기록된다.
망명과 신고전주의의 시대
그러던 중 1902년, 러시아 국민주의 음악의 거장이자 러시아 혁명 이후 고국으로 돌아갈 수 없었던 스트라빈스키는 1971년 4월 6일, 스트라빈스키는 뉴욕에서 폐부종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교수였던 니콜라이 림스키- 스위스, 프랑스 등을 오가며 활동했다. 이 시기 그는 타계했다. 그의 유언에 따라 베니스의 산 미켈레 섬에
코르사코프와의 운명적인 만남이 이루어졌다.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전환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작품이 안장되었고, 생전 함께 활동했던 디아길레프의 묘 인근에
그의 아들 블라디미르와의 인연을 계기로 림스키- 1920년 디아길레프와 다시 협업해 만든 《풀치넬라》다. 잠들었다.
코르사코프의 집을 드나들며, 스트라빈스키는 작곡 이 곡은 18세기 작곡가 페르골레시의 작품을 바탕으로
수업을 받기 시작했다. 림스키-코르사코프는 그에게 하되, 현대적 음향과 구성으로 재해석한 발레곡이다. 이후
음악원 입학보다 개인 수업을 권했고, 이 시기에 《현을 위한 협주곡》, 《교향곡 C》 등을 통해 그는 유럽
스트라빈스키는 음악을 평생의 길로 삼기로 결심하게 된다. 음악계에서 신고전주의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자리매김했다.
26 www.mylifeweek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