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 - :: Mylife Weekly 908 ::
P. 8
마이라이프가 전하는 한주간 호주뉴스한주간 호주뉴스 TOP 5
라
이
이
마
전하
는
프
가
서호주, 전자담배 불법 유통 여전
SOCIETY 서 호 주 , 전 자 담 배 불 법 유 통 여 전
서호주, 전자담배 강력 규제 이후에도 불법 판매는 여전히 기승
전자담배 규제 법안이 발효된 뒤 서호주 전역에 있던 권한이 없어 법 집행력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194곳의 전자담배 오프라인 매장을 추적 조사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매장이 영업을 중단하거나 제품 공중보건협회 관계자 역시 우려를 표했다. 그는 “법
판매를 철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번 시행 이후 전자담배에 대한 노출 빈도는 분명 줄었지만,
결과가 단기간에 나타난 극적인 변화라고 설명했다. 불법 유통은 여전히 심각한 보건 문제로 남아 있다”
연구 공동저자인 한 교수는 “전자담배 매장이 급격히 며 “특히 청소년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경로가 남아
늘어났다 사라지는 과정을 수치로 입증했다”며 “특히 이들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니코틴
매장 상당수는 학교와 가까운 위치에 자리잡고, 청소년을 중독은 장기적인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으며, 청소년들의
유혹하는 맛과 진열 방식을 통해 전자담배를 일상적으로 뇌 발달과 행동에도 악영향을 미친다”고 경고했다.
소비하는 분위기를 만들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번 서호주 정부는 자국의 전자담배 규제가 “호주에서
규제가 가시성과 접근성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왔다는 가장 엄격한 수준”이라고 자부하면서도 불법 거래에
점에서 법의 목표와 부합한다”며 “무엇보다 청소년 대해서는 우려를 감추지 않았다. 보건부는 올해 1
니코틴 중독을 막는 데 중요한 조치였다”고 덧붙였다. 월 이후 1,600건 이상의 단속을 벌여 19만 개가 넘는
전자담배를 압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가로 약 580
하지만 연구 결과는 또 다른 현실을 드러냈다. 퍼스 시내 만 달러에 해당하는 규모다. 당국은 단속 실적을 통해
편의점에서는 여전히 불법적인 전자담배 판매가 이어지고 강력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지만, 여전히 음성적인
있었던 것이다. 연구팀은 지난해 6월, 법 시행 직전 퍼스 도심의 유통망을 뿌리 뽑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서호주에서 강력한 전자담배 규제법이 도입된 이후 편의점 32곳을 조사했는데, 절반 가까운 매장이 전자담배를
전자담배 전문 매장은 사실상 자취를 감춘 것으로 판매하고 있었다. 법 시행 후 3개월이 지난 시점에도 11 한편 서호주 경찰청장은 불법 전자담배 거래가 조직범죄와
조사됐다. 그러나 동시에 편의점이나 소규모 소매점을 곳에서 판매가 계속되고 있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연계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범죄 조직이 폭력과
통한 불법 유통은 여전히 끊이지 않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협박으로 편의점 업주들을 압박한다”며 “불법 판매에
나오면서 규제의 실효성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한 교수는 규제 강화의 필요성을 다시 강조했다. 그는 “ 가담하면 단속뿐 아니라 범죄 세력의 위협에도 노출된다”
남호주처럼 더욱 강력한 단속 권한과 과태료 부과가 병행되어야 고 말했다. 경찰은 앞으로도 관련 불법 유통에 강력히
호주 노틀담대학교 연구팀은 지난해 7월 연방정부의
한다”며 “서호주는 아직 행정 당국이 즉시 영업정지를 명령할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8 www.mylifeweek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