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 :: Mylife Weekly 748 ::
P. 24

MY Educatiion / 교육




                  수학 공부의 비밀






                  전략이 필요하다





               유정임(이하 ‘유’) 해도 해도 끝이 없는 수학 선행 학습, 도대체        요. 수학이 정말 싫었던 엄마는 아이가 수학을 못하면, ‘나 닮
               어디까지 공부해야 적당한가요?                             아서 그런가?’ 하며 농담 같은 자책도 해요. 부모가 모두 ‘찐 문
                                                            과형’이라면 과연 아이가 수학을 잘할 수 있을까요?
               김동명(이하 ‘김’) 물론 각자에게 주어진 현행 과정의 학습이 최
               선이겠죠. 하지만 한국의 입시 현실을 살펴봐야 하는데요, 학            김 지금까지 무수한 아이를 가르쳐본 경험적 입장에서 얘기해
               교 같은 공교육권에서 배우는 학습량으로는 만족할 만큼 성적             보겠습니다. 아이를 수학자로 키울 생각이 아니라면, 고등학교
               을 최대로 끌어올릴 수 없거든요. 그런 현실을 감안할 때 어쩔           과정까지는 DNA와 상관없이 어느 정도의 기본적 학습은 노력
               수 없이 1년 정도의 선행은 불가피하다고 봅니다.                  에 따라 결정되더라고요. 엄마, 아빠가 뼛속까지 문과형이라고             유 마지막으로 엄마로서 간절한 질문이기도 한데요, 짧은 기간
                                                            해도 아이의 노력 여하에 따라 수능 2·3등급은 무난하게 받을            에 수학 점수 잘 받는 비법은 없을까요?
               다만 선행 학습을 할 때 꼭 명심해야 할 점은, 아이의 잠재력을          수 있고, 그 이상도 얼마든지 가능하죠. 수많은 학생을 관찰한
               무시하고 남들 하는 대로 따라가는 지나친 선행은 반드시 악영            결과니까 굳게 믿어도 될 듯합니다.                           김 (웃음) 사실, 시중에서 그런 광고를 많이 보잖아요. ‘방학 4
               향을 끼친다는 겁니다.                                                                               주 단기 완성’, ‘1년 과정 두 달에 끝내기’ 같은 문구를 내건 단
                                                            유 아이의 노력이 DNA도 엎을 수 있군요! 그런데 그런 노력            기 특강 광고가 자주 눈에 띄는데 결과는 어떨까요? 주위를 살
               유 학습 능력에 따른 맞춤식 선행을 해야 한다는 거네요. 결            으로 중학교 때까지는 수학 점수가 잘 나오던 아이가 고등학              펴보면 실제로 이런 특강에서 성적이 올랐다는 학생도 많습니
               국 수능이라는 입시를 생각한다면 수학의 선택과목에서도 전              교에 가서 수포자가 되는 경우가 정말 많잖아요. 이유가 많겠             다. 그럼 정말 단기에 완성되는 건지 궁금하시죠?
               략적 접근이 필요할 텐데 어떤 과목을 선택해야 수능 수학에             지만, 중·고등 수학의 차이가 노력만으론 극복이 안 되는 면이
               서 유리할까요?                                     있는 걸까요?                                       그 이면을 잘 살펴보면 놓쳐서는 안 될 점이 있습니다. 단기
                                                            백 한마디로 단정 내리기는 어려운 문제입니다. 개개인의 능력             에 점수가 올랐다는 경우는 수학을 전혀 못하거나 별로 안 했
               백재훈(이하 ‘백’) 시대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입시 틀 속에서          이나 성향 차이가 있으니까 이건 정말 학생 개개인을 살펴 해             던 학생은 드물고, 평소 어느 정도 기본기가 있던 학생이 대부
               이걸 선택하라는 식의 정답을 말하기는 참 어렵습니다만, 지금            결점을 찾아야 해요.                                   분이라는 겁니다. 기본 실력도 없는데 단기간에 수학을 정복
               상황을 참고한다면 대학 가기에 유리한 표준 점수를 올리기 위                                                          하겠다는 건 솔직히 사상누각과 같습니다. 매년 학습해야 하
               해선 미분과 적분을 선택하는 게 유리합니다. 물론 응시자 수            이게 중학교까지 이어지면 중학교 내신은 일부 통할 수 있는데             는 기본적인 내용은 최소한 교과서에 실린 것만이라도 반드
               나 현재 드러나는 표준 점수를 볼 때 그렇다는 겁니다.               그 이상에서는 무리가 따릅니다. 개념을 이해하고 사고력을 기             시 알고 있어야 합니다. 기본을 튼실하게 만들어두는 것이 수
                                                            르는 것이 우선돼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 고등 과정의 복            학 공부의 첫걸음이라는 게 현실적인 정답입니다. 결국 기본
               유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흔히 수학은 DNA라고 얘기하잖아            합 문제 해결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최선입니다.





































             24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