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 :: MyProperty 872 ::
P. 24

MY Economy / 경제
                                                                                  일반적으로 공급 부족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 업계 관계자는 "정치적 불확실성 장기화로
         한국 집값                                                                    거래량이 줄어드는 등 시장이 침체국면에 빠질 수 있지만, 공급이 부족해지면 결국 가격은
                                                                                  반등하게 돼있다"고 말했다.

         오를 일만 남았다?…                                                              전국이 대폭 하락…



         '공급절벽'에                                                                  12월 주택사업전망



         계엄 후폭풍 덮친다                                                               '꽁꽁'





         2025년을 기점으로 국내 주택시장에서 '공급절벽'이 현실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출 규제로 부동산 침체가 이어지는 가운데 경기 상황까지 악화할 것으로 우려되면서 12월
         2021년 착공 물량이 최고점을 찍은 뒤 지속적으로 감소해, 앞으로 3~4년 간 공급 부족이 심각한                  주택사업 경기전망지수가 전월보다 13.3포인트 급락했다.
         문제로 대두될 가능성이 부각되면서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비상계엄 사태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원/달러 환율이 치솟으면서 아파트 거래량이 줄고 공사비는 더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지난달  18~27일  주택사업  업체들을  대상으로  경기상황에  대한
                                                                                  전망을  조사한  결과,  12월  전국  주택사업  경기전망지수는  75.7로  전달보다  13.3포인트
         10일 부동산114와 한국부동산원 등에 따르면, 국내 주택 착공 물량은 2021년 58만3000세대로                 떨어졌다고 12일 밝혔다.
         최고점을 찍었다.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2022년에는 38만3000세대, 2023년 24만2000
         세대였다. 올해는 10월 기준 21만8000세대로 2021년 대비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지수가  기준선인  100을  웃돌면  경기를  낙관적으로  보는  응답이  더  많다는  의미다.  100을
         착공 물량은 3~4년 뒤 입주 물량과 직결된다.                                               밑돌면 그 반대다. 수도권은 서울, 경기, 인천이 모두 대폭 하락하며 전체적으로 20.1포인트 내린
                                                                                  78.4로 나타났다.
         실제로 올해 아파트 입주 물량은 올해(36만4000세대 예상) 이후 내년부터는 감소세에 접어들
         전망이다. 아파트 입주 세대수는 2025년 26만6000세대, 2026년 15만8000세대, 2027년                인천(64.7)은 전달보다 29.0포인트 무너지며 전국에서 하락 폭이 가장 컸고, 경기는 17.0포인트
         17만9000세대로 각각 예상된다. 이는 정부가 예상한 연간 신규주택 수요에 크게 못 미치는                      (94.5→77.5) 하락했다.
         수치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제3차 장기 주거종합계획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32년까지                      서울은 14.3포인트(107.3→93.0) 내렸다. 서울의 전망지수가 100을 밑돈 것은 지난 5월(93.1)
         연평균 39만3000 세대의 신규 주택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7개월 만이다. 비수도권 전망지수는 11.8포인트 내린 75.2로 집계됐다.


         하지만 2025년부터는 공급량이 수요를 크게 밑돌면서 '공급절벽'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광역시는 전월보다 6.5포인트 하락한 82.6으로 나타났다. 대전(13.5포인트)이 가장 크게 하락해
         특히 2026년과 2027년의 경우, 신규 주택 공급량은 수요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할 전망이다.                    80.9로 집계됐다. 이어 부산 6.1포인트(76.9→70.8), 울산 5.2포인트(87.5→82.3), 광주 4.2포인트
                                                                                  (84.2→80.0), 대구 3.6포인트(92.0→88.4) 순으로 떨어졌다. 도(道) 지역은 69.6으로 전월보다
         더구나 최근 발생한 비상계엄 사태가 정부의 주택공급 정책에도 큰 제동을 걸고 있다. 1기                        15.7포인트 내렸다. 충남이 25.0포인트 급락한 75.0을 나타냈다.
         신도시 재개발 등 신규 공급 계획이 늦춰질 가능성이 높다.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치솟은
         환율도 건설 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최근 몇년간 급격한 공사비 인상으로 시름을 앓고                      충북  19.7포인트(83.3→63.6),  경남  18.8포인트(100.0→81.2),  강원  18.2포인트(72.7→54.5),
         있는 민간 건설사들의 수익성을 더욱 악화시킬 요인이다.                                           제주 14.9포인트(83.3→68.4), 전북 13.2포인트(84.6→71.4) 순으로 하락폭이 컸다.


         1달러당 1400원을 웃도는 고환율이 지속된다면, 철근 등 수입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서 건설                      전국 자재수급지수는 전월과 동일한 93.8로 나타났다. 자금조달지수는 전월대비 14.0포인트
         비용은  물론  분양가  상승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국내  건설사들은  위험부담을  줄이기  위해                내린 71.0으로 집계됐다.
         주택사업 비중을 줄이고 있다. 주택 공급 부족 문제가 악순환을 거듭하고 있다.
                                                                                  주산연 관계자는 "주택사업전망지수가 전국적으로 대폭 하락한 이유는 사상 유례없는 강력한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환율 상승으로 자재비가 오르고, 공사비 분쟁까지 늘어나면서 신규                       주택담보대출  규제로  급등하던  수도권  집값이  하락세로  돌아서고  있고,  점차  어려워지는
         착공이 줄어드는 상황이 지속될 것"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중견 건설사 관계자도 "세계 경제와                      내수경기에 더해 미국 트럼프 대통령 당선으로 인한 수출침체 우려까지 겹치며 부정적 전망이
         국내 정치의 불확실성과 환율 문제로 국내 주택 공급이 더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커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다음에 계속됩니다...]
   19   20   21   22   23   2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