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 :: Mylife Property 887 ::
P. 24
MY Economy / 경제
트럼프 "보복한 중국 125%로 인상…
나머지는 관세 90일 유예"
트럼프, 한국 비롯 70여 개국은 유예… 약간 겁을 먹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연성이 필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상호관세 10%로 인하 미국에 정면으로 대응하는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104%에서 21% 포인트를 더
높이는 대신 대(對)미국 관세·비관세 장벽 해소를 위한 협상에 나선 한국을 비롯한
70여 개국에 대해서는 한시적이지만 관세율을 전격적으로 낮춘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의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도 90일간은 기존 25%에서 10%로 낮아지게
됐다.
다만 철강, 자동차 등에 대한 25% 품목별 관세는 그대로 유지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인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려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해 추가로 맞대응 조치를 발표한 중국에 대해 "관세를 즉시 125%로
인상한다"라고 밝혔습다.
그는 이어 "희망컨대 머지않은 미래의 어느 시점에 중국이 미국과 다른 나라를
갈취하던 날들은 더는 지속 가능하지 않고 용납되지도 않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
이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국가별 상호관세가 시작된 지 13시간여
만에 중국에 대한 관세는 125%로 올리면서 중국을 뺀 다른 국가에는 국가별 상호 또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뺀 75개 이상 국가가 미국과 협상에 나섰으며 보복 조치도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취하지 않았다면서 이들 국가에 대해 "90일간 (국가별 상호관세를) 유예 및 상당히
낮춘, 10%의 상호관세를 승인했다"며 "이 또한 즉각 시행된다"라고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를 유예한 이유로 '사람들이 겁을 먹은 것 같아서'
라고 말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SNS 게재 뒤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에 대한 관세는 125%로 인상될 것이며 이는 중국이 경솔하게(imprudently)
또 트럼프는 "나는 채권시장을 주목하고 있었다"며 "채권시장은 매우 까다로워서 보복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라면서 "누구든 미국을 때릴 경우 트럼프 대통령은 더
그걸 지켜보고 있었는데, 어젯밤에 사람들이 약간 불안해하는 걸 봤다"고 말했다. 세게 맞받아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최대 안전 자산으로 꼽히는 미국 국채 가격이 투매로 인해 급락해 국채 수익률이 이어 중국 이외의 다른 나라에 대해 "우리는 맞춤형 협상을 계속할 것이며 그 기간에
급등한 것을 말하는 것이다. 90일간의 (국가별 상호관세) 유예가 있을 것"이라면서 "(이들 국가에 대한) 관세는
보편적인 10%로 낮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는 "지난 며칠 동안" 참모들과 관세 인상 유예를 논의해 왔다고 했다.
그러다 이날 아침 결국 발표한 것인데 (관세 유예를 발표한 자신의 트루스소셜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관세 및 비관세 장벽 등을 이유로 미국의 모든
게시글에 대해) "진심으로 쓴 것"이라면서 "잘 쓴 것이기도 하지만 진심으로 쓴 것" 무역상대국에 10% 이상의 상호관세 시행 방침을 밝혔다.
이라고 자랑했다.
이에 따라 모든 국가에 10%의 기본 관세가 5일부터 시행됐고, 여기에 더해 미국이
트럼프는 이날 오전 0시 1분부터 발효된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하고 지난 5 이른바 '최악 침해국'으로 분류한 57개 무역파트너(한국·일본·중국 등 56개국+27개
일부터 발효된 10% 기본관세만 유지하기로 했다. 그리고 중국은 125%로 관세를 회원국 가진 유럽연합)에는 9일 0시 1분부터 국가별 상호관세가 별도로 부과됐다.
더 올렸다. 미정부는 90일 유예기간 동안 국가별 맞춤으로 협상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가 부과되기 시작한지 13시간여 만에 중국을
제외하고 다른 국가에 대해선 국가별 상호관세 유예 조치를 전격적으로 내렸다.
한편 트럼프는 중국의 대한 상호관세율을 84%에서 125%로 재차 올린 것과 관련,
이를 더 인상하는 것은 "상상할 수 없다"고 말했다. 최근 중국과 핑퐁처럼 서로 특히 이번 조치는 '트럼프 관세'로 인한 무역전쟁 격화로 미국을 비롯해 전 세계의
보복하며 관세 인상을 주고받은 그는 "그렇게 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한다"면서 더 주식 시장이 연일 폭락하는 상황에서 나왔다.
이상의 대중 관세 인상은 없을 것임을 시사했다
이와 동시에 한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와 달리 중국이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워싱턴포스트(WP)와 AFP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 상응하는 보복 조치를 잇달아 내놓은 것도 트럼프 대통령의 결단에 영향을 미친
집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가별 상호관세가 발효된 지 불과 몇 시간 만에 이를 90 것으로 보인다.
일간 유예한 이유를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맞대응 조치에 대응해 전날 대중국 상호관세를 34%에서
트럼프는 "나는 사람들이 약간 선을 넘었다고 생각했다"며 "사람들이 예민해지고 84%(총 104%)로 올렸으며 이날 다시 21%포인트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