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 - :: Mylife Property 889 ::
P. 26

MY Economy / 경제





          "재택근무하면



          자른다"…



          복지 천국 구글



          중대결단







            주 3일 이상 출근 의무화
            AI 공격적 투자에 직원 생산성 쥐어짜기



          직원 복지 혜택으로 유명한 세계 최대 검색 엔진 업체 구글이 최근 재택근무를                                2023년부터는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해 직원 수도 줄였다. 지난해 말 기준 구글
          축소하는 회사 방침에 따르지 않는 직원은 해고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직원은 약 18만3000명인데, 2년 전 19만명에서 대폭 감소했다.


          미  경제매체  CNBC는  지난  23일(현지  시간)  자체  입수한  구글  내부  문서를                     앞서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따르면 구글 공동 창업자이자 현재 이사회
          인용하며 구글이 팬데믹 당시 재택근무 승인을 받았던 일부 직원에게 주 3일 이상                              멤버인 세르게이 브린은 지난 2월 구글 AI 부서 직원에게 보낸 내부 메모에서 “
          사무실에 출근하지 않으면 자발적인 퇴직이 유일한 선택지일 수 있다고 통보했다고                               인공지능 경쟁이 치열해졌다”며 “주 중 매일 사무실에 출근해야 한다.
          보도했다.
                                                                                    주 60시간 근무는 생산성의 최적점”이라고 강조했다.
          복귀 대상 요건은 사무실에서 50마일(80㎞) 이내에 거주하는 직원이다.
                                                                                    그 이상 근무하면 번아웃이 올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이들은 주 3일 출근, 주 2일 재택으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출근하도록 규정한다.
          이에 따르지 않으면 직위가 해제될 예정이다.                                                  그러나  그는  “많은  직원들이  주  60시간보다  적게  일하고  있고,  소수는  근근이
                                                                                    유지하기 위해 최소한만 일하고 있다”며 “마지막 부류는 비생산적일 뿐 아니라
          사무실에서 반경 50마일 이내로 이사할 경우 이사비도 지원한다.                                       다른 모두의 사기를 꺾는 존재가 될 수 있다”고 비판했다.


          코트니 멘시니 구글 대변인은 “혁신과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면 협업이                              구글 외 미 기술 기업도 재택근무를 축소하는 분위기다.
          중요하다”며  “복귀  요구는  사무실  근처에  거주하는  일부  직원에게  한정된다”고
          설명했다.                                                                     아마존은  혁신  가속화를  위한  전략으로  올해부터  본사  직원이  주  5일  사무실
                                                                                    출근하도록 조직 제도를 변경했다.
          CNBC는 구글을 비롯한 기술 기업들이 인공지능(AI)에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며
          비용을  절감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직원  생산성을  높이는  데  고삐를  죄고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유연 근무제에 익숙해진 직원들과 기업 간의 갈등이
          있다고 분석했다.                                                                 다시 불거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일부  직원들은  업무  효율성과  삶의  균형을  이유로  재택근무  유지  필요성을
          구글은  지난달부터  일부  정규직  직원에게  금전  보상을  받는  조건으로  자발적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들은 대면 협업을 통한 시너지와 생산성 제고를 앞세워
          퇴직을 제안해 왔다.                                                               사무실 복귀를 압박하는 추세다.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