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 - :: Mylife Weekly 907 ::
P. 26

MY Education / 교육



          러시아에서 태어나 세계 음악사에

          혁신을 남긴 20세기 최고의 작곡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마이라이프
           (Igor Stravinsky)                                                        QR코드 스캔하고
                                                                                      명곡 듣기 ▲




          이고르  표도로비치  스트라빈스키(1882~1971)는  20              스펙트럼을  한층  넓혔다.  단순히  혁신적  발레  작곡가에  《봄의 제전》은 음악사에서 한 획을 그은 사건이었다. 극적인
          세기  클래식  음악의  흐름을  바꾼  혁신적  작곡가로,  머물지 않고, 전 생애에 걸쳐 다양한 음악 장르를 탐구하며  불협화음과 강렬한 리듬, 예측 불가능한 악상 전개는 당시
          러시아  제국  출신이지만  유럽과  미국을  아우르며  세계  시대를 앞서간 예술가였다.                                              파리  관객들에게  충격을  주었으며,  동시에  전위  음악의
          음악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난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자리  잡았다.  이
          그는 본래 법학을 공부했으나, 1903년 독일에서 니콜라이  스트라빈스키의  음악은  리듬과  조화,  형식에서  끊임없는  곡은  스트라빈스키가  단순한  발레  작곡가를  넘어  20세기
          림스키코르사코프를 만나면서 음악에 대한 열정을 발견하게  실험과  변화를  보여준다.  초기  러시아  발레  음악에서는  음악 혁신의 선구자임을 입증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 그는
          된다. 림스키코르사코프에게 사사받은 그는 곧 발레 음악과  강렬한  리듬과  민속적  색채가  두드러졌으며,  신고전주의  유럽으로 활동 무대를 옮기며 신고전주의 시기를 맞이했다.
          관현악 분야에서 탁월한 재능을 보여, 1908년 관현악곡 《               시기에는  고전과  바로크의  음악  구조를  현대적으로  《풀치넬라》와  같은  작품에서  볼  수  있듯,  그는  과거  음악
          불꽃》으로 러시아 발레단의 디아길레프에게 인정을 받았다.  재해석하며 유럽 음악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형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새로운 스타일을 개척했다.
          이후  《불새》(1910),  《페트루시카》(1911)와  같은  발레곡을                                                       이를  통해  음악계의  주류였던  고전적  전통과  현대적  실험
          의뢰받아 작곡하며, 러시아뿐 아니라 유럽에서도 주목받는  특히  같은  시대의  작곡가들이  추구하지  못했던  새로운  사이의 다리를 놓았다.
          작곡가로 자리 잡았다.                                    음악적 언어를 만들어내며, 20세기 음악의 혁신을 이끌었다.
                                                          말년에는 종교적 주제와 합창곡을 중심으로 보다 심오하고  1930년대  프랑스로  이주한  스트라빈스키는  제2차
          1913년  파리에서  발표한  《봄의  제전》은  현대  음악사에서  내면적인  음악  세계를  펼쳤다.  그의  작품은  단순히  듣는  세계대전의 혼란 속에서 1945년 미국으로 망명했다. 낯선
          가장 논쟁적이면서도 상징적인 작품으로 평가된다. 관객들  음악을 넘어, 역사와 문화, 시대적 맥락까지 담아내는 예술로  환경에서도  그는  곧  창작의  열정을  되찾았으며,  《3악장의
          사이에 찬반 양론의 소동이 벌어질 정도로 혁신적인 리듬과  평가받는다.  스트라빈스키의  삶과  음악은  오늘날에도  교향곡》과 《미사》 등에서 심오한 음악적 성숙을 보여주었다.
          불협화음을 선보였던 이 곡은 스트라빈스키를 전위 음악의  여전히  연구와  공연을  통해  이어지고  있다.  러시아에서  이  시기  작품들은  그의  음악적  성격이  보다  내적이고
          기수 중 하나로 부각시키며, 그의 이름을 전 세계에 알렸다.               시작해  유럽과  미국을  거친  그의  여정은,  국적을  넘어선  철학적인 방향으로 발전했음을 보여준다.
                                                          음악적  영향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현대  클래식  음악의
          그러나 러시아 혁명으로 조국을 떠난 그는 이후 신고전주의로  토대를 마련한 발자취라 할 수 있다.                                          스트라빈스키의 말년 작품들은 종교와 인간의 내면에 대한
          음악적  방향을  전환한다.  제1차  세계대전  후  작곡한  《                                                           탐구로  특징지어진다.  《설교,  설화  및  기도》,  《아브라함과
          풀치넬라》(1920)에서는  고전과  바로크의  음악  형식을  한 세기를 관통하며 시대의 경계를 뛰어넘은 그의 작품들은  이삭》,  《케네디의  추억을  위하여》  등은  합창과  관현악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유럽  음악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여전히 전 세계 관객들에게 새로움과 감동을 전하며, 20세기  통한 깊이 있는 음악 세계를 보여주며, 듣는 이에게 성찰과
          기준을  제시했다.  1934년  프랑스에  귀화했으나  제2차  음악을 정의하는 상징적 존재로 남아 있다.                                    감동을  동시에  선사한다.  그의  말년  작품에서는  조화와
          세계대전 발발로 1945년 미국으로 망명하여 미국 시민권을                                                                형태뿐 아니라 정신적 울림까지 고려한 섬세함이 돋보인다.
          취득한  스트라빈스키는,  잠시  침체기를  겪은  뒤  《3악장의  스트라빈스키는                 음악적     실험을     두려워하지      않은  오늘날  스트라빈스키의  음악은  전  세계  오케스트라와
          교향곡》(1945)과  《미사》(1948)  등을  통해  음악적  재기를  작곡가였다.  초기  발레  작품에서는  러시아  민속  음악의  발레단에서 꾸준히 연주되며 여전히 현대 음악의 기준점으로
          이루었다.                                           리듬과  멜로디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며,  전통과  평가된다.  그의  작품은  단순한  음악을  넘어  시대와  문화,
          이후  말년에는  종교  음악에  집중하여  《설교,  설화  및  혁신의 균형을 보여주었다. 《불새》와 《페트루시카》는 그의  감각과 사고를 연결하는 예술로 남아 있으며, 20세기 클래식
          기도》(1961),  칸타타  《아브라함과  이삭》(1963),  합창곡  《     발레  음악에서  대표적인  예로,  당시  관객들에게  새로운  음악을  정의하는  상징적  존재로서  후세에도  큰  영향을
          케네디의 추억을 위하여》(1965) 등을 작곡하며 그의 음악적  리듬감과  화성의  조합을  선보이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미치고 있다.





































          26 www.mylifeweekly.com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