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4 - :: Mylife Weekly 914 ::
P. 44
MY Life / 기사제공
11월29일 버우드에서
<아리랑 페스티발 2025> 개최
호주 한인사회 최초 장애인 스포츠 축제 – 재호 장애인체육회 주최
다양한 스포츠 및 생활체육 게임과 놀이, 워크숍, 문화예술 공연들
재호주 대한장애인체육회 (회장 김용구) 또한 참가자들이 함께 식사와 담소를 나누며
가 주최하는 <장애인과 함께 하는 아리랑 장애와 비장애를 넘어 따뜻한 교류의 장을
페스티발 2025> 가 오는 11월 29일 (토) 즐기고 경험하는 커뮤너티 축제가 되리라는
버우드에서 개최된다. 것이 동 체육회의 설명이다.
다양한 스포츠 및 생활체육 게임과 놀이, 김용구 장애인체육회 회장은 “장애인들이
워크숍, 문화예술 공연들이 진행되는 이번 스포츠를 통해 건강과 삶의 즐거움을
행사는 50년이 넘는 호주 한인 이민 역사상 만끽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장애인과
최초의 장애인 스포츠 페스티벌 이라는 비장애인이 함께 어우러지는 사회를
점에서 의미가 깊다. 만들가 위해 노력하겠다”며 “장애인체육회
산하 여러 체육단체들도 스포츠를 통해
오는 11월29일(토) 버우드 우드스톡 장애인들의 친목을 증진시키고, 그들의
(Woodstock) 커뮤너티 센터 실내강당 및 사회참여 확대 및 권익옹호에 앞장서도록 ▲ 2025년3월28일 스트라스필드 대삼원식당 별실에서 약 50여명의 내외 한인
외부 공원에서 10am~3pm 동안 진행되는 요청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사들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재호주대한장애인체육회 창립1주년 기념사진
이 행사에는 한궁 태권도 등 생활체육
게임들과 딱지치기, 윷놀이, 가위바위보 등
놀이들, 그리고 부채 만들기 등 커뮤너티 문의: 재호주 대한장애인체육회 홍보팀
참여 프로그램과 더불어 K팝-댄스, 풍물패, Contact: 0410 456 408
한국무용 등 공연들이 펼쳐질 예정이다. Email address: arirangfestival2025@gmail.com
토양과 AI, 미래 농업과 기후 대응의 동반자
AI와 토양 관리: 스마트 농업의 미래
토양은 농업 생산성과 생태계 건강을 좌우하는 핵심 들어, 토양 수분이나 유기탄소 변화의 패턴을 학습해
자원이다. 그러나 토양 특성은 공간적으로 매우 가뭄, 침식, 탄소 손실 등의 위험 지역을 사전에 예측할 글 장호준
다양하고, 시간에 따라 빠르게 변하기 때문에 정확한 수 있다. 이런 예측 모델은 농업 현장뿐 아니라 국가 시드니대학교 토양보안센터 박사
관리와 예측은 오랫동안 과학자들의 과제였다. 차원의 토양 관리 정책 수립에도 큰 도움이 된다.
2023 – 현재
시드니대학교 토양보안센터 (Soil Security Centre)
최근 인공지능(AI)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강력한 토양과 AI의 융합은 단순한 기술 혁신이 아니라, 박사후연구원 (Postdoctoral Fellow)
도구로 떠오르고 있다. 머신러닝과 딥러닝 기법은 지속가능한 농업과 탄소 중립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대규모 토양 데이터, 분광학 (Spectroscopy) 자료, 위성 필수적인 흐름이다. 발 밑의 토양이 인공지능과 2019 – 2023
영상, 기상 정보 등을 통합해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만나면서, 우리는 기후 위기를 극복하고 더 건강한 시드니대학교 (The University of Sydney)
정밀하게 예측한다. 이를 통해 토양 탄소 저장량 추정, 지구로 나아갈 새로운 길을 열고 있다. 박사과정 (Ph.D. in Environmental Science, 전일제)
영양분 공급 상태 분석, 산성화 및 염류화 진단 등이
가능해지고 있다.
2015
시드니대학교 환경시스템학(우등) 학사 (Honours)
AI 기반의 디지털 토양 지도는 농업 현장에서 큰
잠재력을 지닌다. 예를 들어, 특정 농경지의 질소, 인 2010 – 2013
그리고 칼륨 분포를 예측하면 맞춤형 비료 처방이 시드니대학교 환경시스템학 학사 (Bachelor of
가능해져 생산성은 높이고 환경 부담은 줄일 수 있다. Environmental Systems, 전일제) 전공: 토양과학 (Soil
또한 근접센싱 (proximal sensing)과 원격탐사에서 Science)
얻은 방대한 데이터를 AI가 해석하면, 토양 상태 변화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기후변화 대응 전략에도 활용할 기타 활동
수 있다.
시드니대·경상국립대 강의 및 실습 지도 (통계, 토양, R 코딩)
호주·한국 토양 연구 행사 및 환경 봉사 활동 참여
AI는 단순히 데이터를 분석하는 수준을 넘어, 호주대한문화교류협회(AKCEA) 행사 코디네이터
기계학습을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발견한다. 예를
44 www.mylifeweek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