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 :: Mylife Weekly 878 ::
P. 24

MY Life / 라이프




                                            "반대에 끌린다고? No!"...



                                        연인간 닮은 외모, 이유 있다!








































         연구결과 무의식적으로 자신과 닮은 사람을 연인으로 선택하는 경향 높아


         흔히 '반대에 끌린다'는 인식을 갖고 있지만 사람들은 무                                                                   거울을 통해 자신의 얼굴을 보고 이에 따라 자기 얼굴과
         의식적으로 자신과 닮은 외모를 가진 사람을 연인으로 선                                                                    닮은 외모를 가진 사람을 보면 익숙한 느낌을 받게 된다.

         택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심리학과 카렌 우 부교수 연                                                                    뇌는 익숙한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자신과
         구팀은 이러한 현상이 심리학적 요인과 관련이 있음을 실                                                                    닮은 얼굴을 가진 상대를 더 편안하고 호감이 가는 대상
         험을 통해 밝혀내면서 “연인들이 서로 닮았다는 사실은                                                                     으로 인식하게 된다. 낯선 얼굴보다 익숙한 얼굴이 더 매
         우연이 아니라 심리적 이유가 있다"고 '사이콜로지 투데이                                                                   력적이라고 느끼는 심리적 메커니즘이 연인 선택에 영향
         (Psychology Today)'에 기고했다.                                                                        을 미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람들은 연인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4. 성적 각인(Sexual imprinting)
         얼굴을 닮은 상대에게 더 끌리는 경향이 있음을 실험으                                                                     우  박사는  “어린  시절  부모의  얼굴이  이상적인  연인의
         로 확인했다.                                                                                           기준이 될 수도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는 성적 각인
                                                                                                           (Sexual imprinting)이라는 개념으로, 어린 시절 부모의
         연구진은 사람들이 자신과 닮은 외모를 가진 사람을 선호                                                                    얼굴을 자주 접하다 보니, 부모와 닮은 사람에게 매력을
         하는 이유가 심리적, 생물학적 요인과 관련이 있는지를 분                                                                   느끼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석했다. 연구진은 사람들이 자신과 비슷한 외모를 가진 연                                                                   다만, 이 현상은 부모와의 정서적 유대감에 따라 차이가
         인을 선택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은 4가지 심리적 요인으                                                                    있을 수 있다. 부모와의 관계가 가까울수록, 부모를 닮은
         로 설명했다.                                                                                           연인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1. 내집단 편향(In-group bias)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자기 자신과 닮은 것을 선호하는  외모뿐만 아니라 체형도 닮은 경향 보여
         사람들은 자신과 같은 인종, 문화, 나이대 등의 ‘내집단’                 경향이 있다. 연구진은 한 실험에서 참가자들에게 여러 얼                  이 연구는 단순히 얼굴뿐만 아니라 신체적인 특징도 유사
         에 속한 사람들에게 더 매력을 느낀다는 것이 밝혀졌다.  굴 사진을 보여주고 가장 매력적인 얼굴을 선택하도록 했                                    한 연인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음을 밝혀냈다. 실제로 부부
         우 박사는 "미국에서 진행된 연구에서도 백인, 흑인, 라틴                 다.                                               의 체질량지수(BMI), 키, 체형이 비슷한 경우가 많다는 연
         계, 아시아계 등 모든 인종 그룹에서 내집단 편향이 나타                                                                   구 결과가 있으며, 이는 유전적 요인뿐만 아니라, 비슷한
         났다"고 설명했다.                                       놀랍게도, 참가자들은 자신도 모르게 자기 얼굴의 특징이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공유하기 때문일 가능성도 있다. 특

                                                          22% 포함된 얼굴을 가장 매력적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사                 히, 운동 습관이나 식습관이 유사한 커플일수록 체형이 비
         이러한 내집단 편향은 '사회적 네트워크에서의 인정 욕구  람들이 무의식적으로 자기 자신과 유사한 외모에 끌린다                                     슷해지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한 배경을 공유하는 상대에 대한 신뢰/비슷한 외모'                  는 사실을 입증한 셈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우리가 흔히 듣는 “반대되는 사람에게
         에서  오는  심리적  안정감  등을  이유로  더욱  강화된다고                                                              끌린다(Opposites attract)”는 말이 과학적으로 큰 근거
         분석했다.                                            3. 친숙성 효과(Familiarity effect)                    가 없다는 점을 시사한다. 우 박사는 “연구를 통해 밝혀진
                                                          우 박사는 “반복적으로 보는 얼굴일수록 더 친근하고 매                   것은, 오히려 사람들은 자신과 닮은 사람을 선호하는 경향
         2. 암묵적 자기애(Implicit egotism)                     력적으로 느껴지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는 매일  이 더 강하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24 www.mylifeweekly.com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