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8 - :: Mylife Weekly 902 ::
P. 38
美서 계란값 잠잠하니… 소비자 부담이 다시 커지고 있다. 21일(현지시간) CNN 등 미국농업인연맹(AFBF)에 따르면 가격이 급등했음에도
이번엔 소고기 가격 '고공행진' 보도에 따르면 지난 2~3월 12개 들이 A등급 대란(大卵)의 불구하고 전체적인 소고기 수요는 여전히 강한 편이다.
평균 소매가격은 6달러(약 8300원) 안팎까지 치솟으며 사상
그러나 AFBF 소속 이코노미스트 번트 넬슨은 “과거 사례를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1년 전보다 거의 두 배 가까이 뛴 보면 가계 여건이 좋아질수록 소고기 수요는 늘었고, 반대로
수치로, ‘에그플레이션’(eggflation·달걀과 인플레이션의 소득이 줄어들면 자연스럽게 줄어들었다”며 “현재처럼
합성어) 우려를 키웠다. 하지만 4월 들어 조류인플루엔자 소비자 심리가 위축되고 가계 재정이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사태가 진정되고 공급이 원활해지면서 달걀값은 하락세로 가격 급등이 수요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환된 바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단백질원인 돼지고기나 닭고기로 식단을 바꾸는 움직임이
그러나 최근에는 소고기 가격이 빠르게 오르며 새로운 늘고 있다. 슈퍼마켓과 정육점에서는 할인 행사나 묶음
부담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농무부에 따르면 상품 등으로 소비자 부담을 줄이려 노력하고 있지만,
현재 소고기 소매가격은 파운드당 9.26달러에 거래되고 전반적인 가격 상승세를 완전히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있으며, 이는 1월 이후 약 9% 상승한 수준이다.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기준으로 보면 스테이크 가격은 외식업계도 타격을 받고 있다. 일부 레스토랑은 인기 메뉴였던
전년 동월 대비 12.4%, 다진 소고기는 10.3% 각각 올랐다. 스테이크의 가격을 인상하거나, 원가 부담을 견디지 못해
아예 메뉴에서 제외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문가들은 달걀과 달리 소고기 가격은 단기간에 안정되기 소고기 공급 회복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릴 것으로 전망하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내 소 사육두수 감소와 최소 1~2년 이상 고가 행진이 이어질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극심한 가뭄, 수입산 소고기 증가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있다. 이는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식생활의 질이 떨어지는
작용해 지난 10여 년간 서서히 누적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 인플레이션
타이슨 푸드(Tyson Foods)의 도니 킹 최고경영자(CEO) 여파 속 식품 가격 전반이 오름세를 보이는 가운데, 소고기
미국에서 한때 급등했던 달걀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는 는 최근 콘퍼런스콜에서 “지금의 소고기 시장은 우리가 가격 급등은 미국 서민 가계의 식탁을 더욱 팍팍하게 만들고
가운데, 이번에는 소고기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경험한 것 중 가장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있다.
38 www.mylifeweek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