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 - :: Mylife Property 902 ::
P. 18
MY Property / 부동산
아파트의 보관 케이지와 공유 주차장,
꼭 알아야 할 규칙들
아파트에 살아본 적이 있다면 공간과 짐 보관이 항상 문제라는 걸 잘 아실 둘 것. 또한 전문가들은 설치된 화재 스프링클러로 인한 물 피해에 대비해 방수 박스를
겁니다. 많은 아파트 단지에는 차량 주차 공간 외에도 별도의 보관 구역이나 사용하는 것도 권장하며, 쥐나 해충 방지 대책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
개인용 보관 케이지(storage cage)가 제공되곤 합니다. 하지만 이 공간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어떤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몇 가지 규칙이 스트라타 커뮤니티 협회 회장 볼드윈은, 자신의 보관 케이지 사용이 다른 거주자에게 불편을
있으며, 이는 보험 문제나 도난, 또는 이웃과의 마찰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주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한다고 말합니다. 만약 규정된 용도 외의 활동(예: 목공 작업 등)을
하고 싶다면,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이러이러한 작업을 여기서
보관 케이지는 아파트 내부에 보관할 수 없는 짐, 예를 들면 운동 기구, 여행 가방, 가구 등을 하고 싶은데, 다른 사람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이렇게 조치하겠다’라고 미리 제안하는
보관하기 위한 공간입니다. 보관 케이지는 스트라타(strata) 법상 "유틸리티 구역(utility lot)" 것이 좋습니다.” 그는 또한 스트라타 커뮤니티가 조례를 시대에 맞게 업데이트하는 것도
으로 분류되며, 거주 공간이나 사무실, 상점처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남호주 노우드/카우르나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어떤 조합은 아직도 ‘마차와 말은 공동 구역을 통과할 수 없다’
(Norwood/Kaurna)를 기반으로 활동 중인 스트라타 커뮤니티 협회(Strata Community 는 오래된 조례를 가지고 있더라고요. 당연히 이런 규정은 현실에 맞게 바꿔야겠죠.”
Association Australasia)의 회장 조슈아 볼드윈(Joshua Baldwin)은, 어떤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지 가장 정확히 알 수 있는 방법은 집주인이나 부동산 관리인에게 스트라타 조례 보관 케이지나 주차장 관련 문제를 발견했다면, 우선 관리자나 집주인에게 이야기해보는
(by-laws) 사본을 요청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보통은 이런 보관 공간의 사용에 대해 것이 좋습니다. 만약 해결되지 않는다면, 거주 지역의 바디코퍼릿(body corporate) 기관을
포괄적으로 규정하는 조례 조항이 포함돼 있어요. 그리고 많은 경우 주차장 같은 공동 구역에 통해 정식으로 문제 제기를 할 수 있습니다.
'인화성 물질 보관 금지' 또는 '롤러스케이트 금지' 같은 안내 표지판이 붙어 있기도 합니다.”
캔버라/응우나왈(Canberra/Ngunnawal)에서 간호사로 일하는 마크 깁슨(Mark
Gipson)은 최근 고가의 산악 자전거를 도난당한 후 아파트 보관 케이지 사용을 거의
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자물쇠가 부서진 것도 아니었어요. 그냥 자물쇠 고리가
뽑혀 있었고, 자전거는 사라졌죠.” 그는, 도난당해도 상관없는 물건만 보관하라고
조언합니다. “차라리 아파트 안에 공간을 만들어서 보관하세요. 우리 건물 관리자도
엘리베이터 안에 '귀중품은 보관 케이지에 넣지 마세요'라는 안내문을 붙여놨어요.”
보관 케이지는 공동 소유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스트라타 보험으로는 개인 물품의
파손이나 도난을 보상받을 수 없습니다. 귀중품은 개별적으로 가입한 가정용 보험(home
contents insurance)을 통해 보장받아야 합니다. 빅토리아 경찰은 전자제품, 귀금속,
중요한 서류 등 고가 물품은 보관 케이지에 넣지 말 것을 권장합니다. “보관 케이지는
기본적으로 공유 공간 내에 있으므로, 단순한 물품 보관용으로만 사용해야 합니다.”
고층 아파트가 증가하면서 보관 케이지 절도 사례도 점점 늘고 있습니다. 경찰은
다음과 같은 예방 수칙을 권장합니다: 고급 자물쇠로 보관 케이지를 잠글 것, 외부인이
침입하거나 열 수 없도록 구조적으로 강화할 것, 비싼 물품은 보관하지 않을 것, 타포린
등으로 물건을 가려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도록 할 것, 주차장이 안전하게 잠기는지
확인할 것, 출입문을 열어둔 상태로 두지 말 것, 보관 물품의 일련번호와 사진을 기록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