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 - :: Mylife Property 914 ::
P. 6

MY Economy / 경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들,


         트럼프 관세 정책 강력 비판


            “보호무역주의가 혁신 동력 약화…

            미국 경제 장기 성장 잠재력 훼손”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들이  도널드  트럼프  관세 방침은 무역수지 대비 수입 비율을 단순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가능성이  크다.  충돌을  분석한  계량  연구는  또  다른  교훈을
          전 대통령이 추진한 고율 관세 정책을 강도  대입해  관세율을  정하는  방식을  포함하고                      저소득층일수록 소비 구조에서 수입품 비중이  준다.  미국의  관세  제도는  단기적으로  일부
          높게  비판하고  나섰다.  이들은  트럼프식  있으며,  수요  탄력성이나  가격  전가  효과,                 높기 때문에 타격이 더 가혹하다는 분석이다.            기업의 사업 신고 건수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보호무역주의가 단기적 보호 효과를 줄 수는  보복 관세 가능성은 거의 고려하지 않았다는                                                            있으나,  중국의  보복  관세까지  포함하면
          있겠지만,  미국의  장기적  경쟁력과  성장  지적이  나온다.  이런  단순하고  비현실적인                   한  노벨  경제학자는  “관세는  결국  자기  순효과는 마이너스가 된다는 결과가 나왔다.
          잠재력을 잠식할 위험이 크다고 경고한다.             계산은 시장 현실을 제대로 반영할 수 없다는             국민에게 부과하는 세금”이라는 식의 표현을  즉, 보호정책 효과 대부분이 상호 대응에 의해
                                             게 비판자들의 공통된 입장이다.                    쓰기도 했다.                             상쇄된다는 것이다.
          수상자들과 학계 전문가들은 이 관세 정책이
          미국  기업들의  혁신  동기를  꺾고,  시장  실제 운용되는 과정에서도 문제점이 드러났다.                    관세  전략이  무역  상대국의  보복을  초래할  이처럼  노벨  수상자들과  학계는  트럼프의
          압박  없이  살아남도록  만드는  ‘편안한  실패       관세  발표와  폐지,  유예  정책이  시시각각          위험도 크다. 미국이 관세를 인상하면 상대국도  고율 관세 정책이 단기적 시혜이익을 줄 수는
          (facilitated inefficiency)’를 조장할 수 있다고  뒤바뀌면서  시장에  불확실성이  팽배했고,        대응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높고, 이 경우  있어도,  장기적으로는  미국  경제의  내실을
          본다.  기업이  수입  여건이  어렵고  경쟁이  기업들은  미래  예측이  어려워지면서  대규모                 수출 기업들이 입을 손실은 무시하기 어렵다.  약화시키는 자충수로 귀결될 가능성이 크다고
          느슨해지면, 비용 절감이나 기술 투자보다는  투자를 보류하거나 축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치  모델  분석  결과도  이  점을  뒷받침한다.  본다. 향후 미국이 무역 정책을 논의할 때는
          기존  체제  유지에  머무르는  경향이  커진다.  노벨 수상자 중 한 명인 폴 크루그먼은 이를 “                한  논문은  만약  미국이  제조업  관세를  20       관세 중심 전략보다는 무역 협상, 혁신 투자
          이는 결국 생산성 정체와 성장 둔화로 이어질  예측 불가능한 관세가 기업 투자와 소비 모두를                     퍼센트포인트       높였더라도,      상대국들의  촉진, 글로벌 공급망 안정성 확보 같은 대안
          수 있다.                              위축시킨다”고 진단하며, 이러한 불안이 결국             보복  관세를  고려하면  미국의  전체  복지  쪽에  더  무게를  둬야  한다는  경고가  강하게
                                             경기  침체를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수준은  하락할  수  있다는  결론을  제시했다.  제기된다.
          이들이  특히  문제  삼는  것은  ‘관세율  산정  또  다른  비판은  소비자  가격  상승이다.
          방식’이다.  트럼프  정부가  내세운  상호주의  수입품에  높은  관세를  매기면  기업은  그                 무역 전쟁 기간 동안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
   1   2   3   4   5   6   7   8   9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