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 - :: Mylife Weekly 837 ::
P. 22

MY Issue / 이슈



          기억의 공간에서 너를 그린다


          세월호참사 10년,

          약속의 자리를 지킨 피해자와 연대자 이야기

          2014년 4월 16일, 그날의 참담한 소식과 이해할  목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세월호참사 이후에
          수 없는 현실에 우리는 거리로, 광장으로 나와 함께  도 이태원참사, 오송 지하차도 참사 등 우리 사회에
          외쳤다. 그 연대의 힘으로 특별법을 제정했고, 선체              끔찍한 참사는 반복되어 왔다. 변한 게 없다고 느껴
          를 인양했으며, 무책임한 정부를 탄핵했다. ‘한국  질지 모르나, 기억공간의 문을 열고 흔적을 쫓는 글
          사회는 세월호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는 말처럼, 세              을 읽다 보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월호가 그려온
          월호는 많은 것을 바꾸어 놓았다. 하지만 시간이 흘              선명한 변화의 궤적을 발견할 수 있다.
          러 광장에 모였던 사람들은 일상으로 돌아갔고, 기
          억을 약속했던 공간들은 하나둘 사라져 갔다. 진상               또한 이 책은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4.16연
          규명은 여전히 미완, 책임자들은 속속 무죄를 판결               대,  4·16재단이  주축이  되어  발족한  ‘세월호참사
          받았다. 그리고 2024년, 또다시 우리는 각자의 자             10주기 위원회’의 기획으로 송경동 시인이 직접 각
          리에서 ‘세월호참사 10주기’의 소식을 듣는다. 빠              분야에서 구술, 인터뷰 활동을 해온 10인의 작가
          른 세월에 놀라기도 잠시, 많은 이들이 잊거나 일상              를 모았다. 10년 전의 약속을 되새기고 앞으로의
          으로 돌아갔을 때도 약속의 자리를 지켜온 사람들                10년을 그리겠다는 다짐을 응원하기 위해 박래군
          이 이토록 많다는 사실에 다시 놀란다.                     4·16재단 상임이사가 서문을, 김훈 소설가가 추천
                                                    의 글을 보탰다.
          《기억의 공간에서 너를 그린다》는 세월호참사 10
          년의 시간을 통과해 온 기억공간들을 중심으로 세                이야기는 배가 가라앉아 있던 바다처럼 어둡기도 했
          월호 생존자, 유가족, 활동가들을 인터뷰하고, 안전              으나, 10년째 다시 찾아오는 봄처럼 곧 피어날 희망을
          사회를 위한 다음 걸음을 고민하는 책이다. 세월호               품기도 했다. 꿋꿋이 약속의 자리를 지켜온 이들의 이
          참사를 증언하는 여러 기록에서 잘 다뤄지진 않았                야기는 지난한 세월에 무력함을 느꼈던 이들에겐 다시
          으나, 피해자와 연대자들의 광장이자 집이자 쉼터                나아갈 용기를, 참사를 잠시 잊고 지냈던 이들에겐 다
          였던 ‘세월호 기억공간’을 재조명하고 그 필요에 주              시 기억의 여정에 참여할 계기를 마련해 준다.

































































          22 www.mylifeweekly.com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