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 - :: Mylife Weekly 884 ::
P. 10

금주의 검색어
                 금주의 검색어
                                              한국, '민감 국가 지정' 두달 몰랐다
                   4위                         한     국     , '  민     감 국          가 지           정     ' 두      달 몰           랐     다
                   4위






          '민감국가' 두달 몰랐다…'둔감정부' 깜깜 정보력


                                                          현재 한국과의 양자 간 과학기술 협력에 대한 새로운 제한은                등)  /  위험  국가(중국·러시아  등)  /  기타  지정국가'  등으로
                                                          없다”면서도 해당 국가 국민의 “방문과 협력이 필요할 경우                분류된다.
                                                          사전에 내부 검토를 거친다”고 밝혔다.
                                                                                                          연구 접근권 문제와 직결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당국자는
                                                          실제 민감국가 국적자는 에너지부 및 산하 17개 국립연구소                “현재 진행 중인 과학기술 협력은 물론, 신규 사업에도 큰
                                                          등과 공동 연구 등을 진행할 때 보다 까다로운 절차를 거치게               차질은 없는 것으로 파악했다”고 설명했다.
                                                          된다. 원자력·인공지능(AI) 등 첨단 분야 기술 협력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해당 연구소엔 ‘방문 6주 전 사전 승인’이 필요한           두 달 넘게 민감국가로 분류된 사실조차 몰랐던 정부의 이런
                                                          민감국가에 한국이 포함됐다고 이미 공지됐다. 정부는 이런                 반응은 안일한 것으로 비칠 여지가 크다는 지적이다.
                                                          결정이  동맹을  중시한  바이든  행정부에서  이뤄진  걸  다소
          미국이  한국을  에너지  안보상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충격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결정이  1월  초라면  이미            이와 관련,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16일 KBS에 출연해 “
          민감국가에 포함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는 다음 달 15일                지난해  상당  기간  검토  작업이  진행됐을  가능성이  큰데,           미국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와 올 한 해 약 120억원 규모의
          이에 따른 관련 조치가 실제 발효하기 전 한국을 제외하도록                관련 낌새조차 눈치채지 못했다. 이 와중에 각 부처 간 온도               많은 공동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결이 다른 이야기를 하며
          총력전에  나섰지만,  사실관계도  파악하지  못한  채  상당             차도  감지된다.  에너지부의  카운터파트인  산업통상자원부               신뢰 손상을 우려했다. 실제 대미 외교를 총괄하는 외교부는
          시간을 흘려보낸 뒤라 설득이 녹록지 않을 전망이다.                    당국자는  “우리나라가  미  국책연구소와  하는  과제가  많지            사안을  더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기류다.  실질적  피해의
                                                          않아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도도  문제지만,  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에  올린  사실
          미 에너지부는 지난 14일(현지시간) 중앙일보의 관련 질의에                                                               자체가 동맹 전체에 미칠 부정적 여파를 잘 알기 때문이다.
          한국이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국가 목록’(SCL·Sensitive and       민감국가란 무엇인가?
          Other Designated Countries List)에 포함됐다고 확인했다.   미 에너지부는 국가 안보, 핵 비확산, 테러 지원 등 우려가               정부는  해당  결정이  한·미  간  조선업이나  반도체,  에너지
          “전임 (조 바이든) 정부는 지난 1월 초 한국을 SCL의 최하위            있어 특별한 정책상 고려가 필요한 국가를 ‘민감국가 및 기타               협력  등에서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미래  지향적
          범주인  ‘기타  지정국가’에  추가했다”면서다.  에너지부는  “           지정국가 목록’에 올린다. '테러 지원 국가(북한·이란·시리아              측면에서 이를 재고해 달라는 논지를 펼칠 것으로 보인다.

































































          10  www.mylifeweekly.com
   5   6   7   8   9   10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