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 - :: Mylife Weekly 887 ::
P. 26
MY Education / 교육
바로크 시대 건반악기 대표 작곡가
프랑수아 쿠프랭
마이라이프
(Francois Couperin) QR코드 스캔하고
명곡 듣기 ▲
프랑수아 쿠프랭(1668년~1733년)은 프랑스의 작곡가이자 니콜 르베그(1631-1702, 오르가니스트), 리자베트클로드 쿠프랭 음악의 특징
오르간 연주자이다. 대(大) 쿠프랭이라고도 한다. 17세기 자케 드 라 게르(1664경-1729), 대(大) 쿠프랭, 루이 마르샹 장바티스트 륄리가 최고로 칭송 받던 당대 프랑스
중엽부터 19세기 중엽에 걸쳐 파리에서 알려진 음악가의 (1669-1732, 오르가니스트), 루이 니콜라스 크레랭보(1679- 극음악과는 달리 기악곡에서는 이탈리아 음악의 양식이
가계(家系)인 쿠프랭 일족(一族) 가운데에서 최대존재라는 1749, 오르가니스트), 라모, 루이 클로드 다캉(1694-1772) 크게 유행했는데, 쿠프랭 본인은 이탈리아 음악의 열렬한 빠
점과, 그의 백부(伯父) 역시 같은 이름 프랑수아이기에 으로 계속되는 베르사유 악파 클라브생 음악가의 빛나는 였는지 자신의 이름을 심지어 이탈리아 풍으로 적고 있었다.
구별하기 위하여 그렇게 부르며 파리에서 태어나 파리에서 계보에서 대(大) 쿠프랭이야말로 뛰어난 거장임에 틀림없다. 그의 작품들은 복잡한 기교보다는 굉장히 잘 정리되고
사망하였다. 세련된 악상에 크게 의지하며, 연주할 때 쇼맨십적인
그는 4곡에서 수십곡에 이르는 소곡을 모음곡으로 정리하여 요소는 극도로 배제되고 해석과 몰입을 요구한다. 비교해서
생애 오르돌이라 했다. 한곡 한곡의 각 소곡은 전통적인 춤곡적인 들어보면 딱 알 수 있겠지만, 동시대의 음악과 비교해 보았을
쿠프랭가(家)는 루이, 프랑수아, 샤를의 3형제가 장크 요소를 남기고는 있으나 문학적 내지 회화적인 표제를 때 상당히 특이하다.
샹폴 드 샹포니엘(1602-1672, 프랑스 클라브생 음악의 지니며 암시적으로써 듣는 이의 상상력을 한층 활발하게
창시자라고도 한다)에 의하여 파리에 초대받은 후로 하는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쿠프랭의 많은 클라브생 곡들은 유쾌함과 자유분방함에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루이, 그리고 그가 죽은 더하여 일정 부분 감수성을 자극하는 성향이 있어서, 특히
후는 샤를이 생 제르베 성당의 오르간 주자로 있었으나 대 섬세한 울림과 우아한 꾸밈음(裝飾音)으로 장식된 유려한 느린 곡의 경우 가만히 감상하다 보면 이상하게 기분이
(大) 쿠프랭은 샤를의 아들로 그도 역시 이 성당의 오르간 멜로디는 이른바 로코코의 세련된 감각미로 넘쳐흐르나 감성적으로 변하고, 뜬금없이 잔잔한 아름다움이 밀려오는
주자로 있었다(샤를이 죽은 후는 이 직책을 대행하고 있던 밑바닥에는 때때로 깊은 우수가 간직되고 또한 기지(機 등의 느낌이 든다. 이러한 특징이 있다 보니 바흐나
랄랑드에게서 1685년 내지 1686년에 이어받아 1723 智)와 풍자를 간직하고 있다. 더구나 항상 절도가 있는 스카를라티의 곡들을 연주하다가 쿠프랭을 연주하면
년에 조카인 니콜라스에게 양도했다). 1693년 콩쿠르 억제가 오히려 감성의 풍요함을 돋보이게 한다. 억제와 분위기가 확 바뀌는 것을 실감할 수 있을 정도이다.
결과, 그를 부친과 함께 가르친 토므랑의 후임으로 왕궁 고귀한 질서에 의한 애호(愛好)로 쿠프랭의 고전주의적인 쿠프랭의 음악은 음악의 성부가 많은 것도 아니고, 구조가
교회당의 4인과 오르가니스트 가운데 한 사람으로 뽑혔다. 성격은 뚜렷하며 그는 라모와 함께 프랑스 클라브생 음악을 복잡하지도 않음에도 그 단순한 구조에 확실한 힘을 불어넣은
그 뒤 부르고뉴공에게 클라브생과 작곡을 가르친 것을 절정으로 쌓아올렸으며 '이성(理性)과 감정의 약동 사이의 작품이 많다. 17년동안 4권의 작품집이 출판되었으며,
계기로 왕족·귀족의 음악교사가 되었고 이름 높은 루이 올바른 균형에 두어진 표정적인 감성'으로 바흐나 헨델과 쿠프랭 자신은 작품들을 오르드르(ordres)라고 명명했다.
왕가의 신임도 두터웠으나 끝내 별로 높은 지위에는 오르지 같은 이국(異國)의 거장들에게도 널리 영향을 미치고 있다. 표현이 섬세하고 아름다운 것으로도 유명하지만, 가장
못하였다. 유명한건 독창적 제목의 곡들이다. 예로, 치명적인 화살들
대(大) 쿠프랭의 클라브생곡은 1713, 1717, 1722, 1730년에 (Les dars homicides).
작품 세계 출판된 4권의 곡집에 수록되어 있는 240곡(27오르돌)에
그는 오르간 음악, 종교음악, 나아가서는 실내음악의 덧붙여 1716-17년의 전주곡 6곡이 있다. 이 밖에도 모테토나 쿠프랭은 이탈리아 트리오 소나타들에게 열렬히 찬사를
작곡가로서도 뛰어났으나 특히 그의 이름을 영원토록 한 종교곡을 주로 하는 성악곡, 오르간을 위한 2개의 미사곡, 보냈으며, 거기에 프랑스의 양식을 종합하려고 노력하였다.
것은 클라브생을 위한 작품군(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코렐리의 영향을 보이며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종합하려는 심지어는 1724년 <코렐리의 신격화>(L' apotheose de
듯한 여러 가지 실내악곡 등, 어느 작품이나 모두 거장 대 Corelli)라는 소나타를 발표하여 다시한번 코렐리의 열렬한
샹보니엘에서 루이 쿠프랭, 장앙리 당글베르(1628-1691), 쿠프랭의 이름에 손색이 없다고 하겠다. 팬임을 입증하였다.
26 www.mylifeweekly.com